티스토리 뷰
목차
서울시가 무주택 시민들의 주거 안정을 위해 다시 한 번 야심차게 추진하는 '보증금 지원형 장기안심주택' 사업이 시작되었습니다. 살 집은 스스로 찾고, 전월세 보증금의 최대 6000만원까지 무이자 지원을 받을 수 있다는 점에서 매우 큰 주목을 받고 있습니다. 특히 서울시민이라면 놓칠 수 없는 이번 기회, 신청 조건과 방법을 꼼꼼히 확인하고 준비해봅시다.
당신의 내 집 마련, 장기안심주택에서 시작해보세요!
장기안심주택이란 무엇인가?
‘보증금 지원형 장기안심주택’은 서울시가 무주택 시민을 대상으로 민간 임대주택 계약 시 보증금 일부를 무이자로 지원해주는 제도입니다.
시민이 직접 찾은 보증금 4억9000만원 이하 민간 임대주택에 대해 보증금의 30%(최대 6000만원)까지 지원하며, 1억5000만원 이하 주택은 50%(최대 4500만원)까지 지원합니다.
지원 대상자 및 조건은?
지원 대상은 서울시 거주 무주택자입니다.
지원주택은 단독주택, 다가구주택, 다세대주택, 연립주택, 아파트, 주거용 오피스텔 등 다양한 형태가 가능합니다.
이번 1차 모집에서는 일반공급 3600호, 신혼부부 특별공급 200호, 세대통합 특별공급 200호까지 총 4000호를 지원합니다.
신청 방법과 일정
- 신청 기간: 2025년 5월 12일~14일
- 신청 방법: 서울주택도시공사(SH) 홈페이지 온라인 신청
- 입주 대상자 발표: 2025년 7월 31일
- 계약 기간: 1년 기본, 이후 조건 충족 시 연장 가능
장기안심주택, 왜 지금 신청해야 할까?
주거비 부담이 계속 커지는 서울에서, 최대 6000만원까지 무이자 지원을 받는 기회는 흔치 않습니다.
특히 이번 1차 모집 이후에도 8월과 12월 추가 모집 예정이 있으나, 초기 모집일수록 선택지가 많고 경쟁률이 비교적 낮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놓치지 마세요! 장기안심주택 신청 기회를 잡으세요.
자주 묻는 질문(FAQ)
Q1. 서울시 외 거주자도 신청 가능한가요?
불가능합니다. 반드시 서울시에 주민등록이 되어 있어야 합니다.
Q2. 지원받은 보증금은 상환 의무가 있나요?
10년까지 무이자 지원 후, 만기 시 상환하는 구조입니다.
Q3. 만약 중도 퇴거하면 어떻게 되나요?
중도 퇴거 시에는 상환 조건이 발생하므로 계약서를 꼼꼼히 확인해야 합니다.
결론
서울시의 장기안심주택은 단순한 임대 지원이 아니라, 무주택 시민들이 안정적인 삶을 설계할 수 있도록 돕는 주거 사다리입니다. 주거 걱정 없이 내일을 준비하고 싶은 여러분, 지금 바로 신청을 준비해보세요! 🏠